폭설‧한파 시작... 차 보험료 1%대 근거 마련되나

보험뉴스


영업용 화물차보험 전문 회사입니다.

폭설‧한파 시작... 차 보험료 1%대 근거 마련되나

긴급출동 등 보상 요인 늘어 연말 손해율 ‘비상’

올겨울 최강 한파가 전망된 가운데, 폭설의 조짐까지 일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춤했던 차량 이동량이 늘면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연말 손해율 비상이 예견되는 만큼, 금융당국과의 보험료 조정 줄다리기에서 1%대 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 긴급출동·견인 손해율 상승 요인

1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던 자동차 손해율이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

상위 4개 손보사들의 지난 10월 손해율을 보면 삼성화재 84%, 현대해상 82.7%, DB손해보험 85%, KB손해보험 84.5%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38%포인트 가량 올랐다.

업계 1~10월 누적 손해율이 4개사 기준 78.5~79.4% 수준이지만, 전달 대비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예컨대 지난해의 경우 주요 4개사 기준 평균 손해율이 10월에는 82.65%, 11월에는 87.025%, 12월에는 92.05%로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높아지고 있다.

손해율은 손보사가 받은 보험료 대비 고객에게 내준 보험금의 비율로, 업계는 77~80%를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다.

현재 코로나19 확산세가 사그라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예년보다 강한 한파가 예고되면서 앞으로의 자동차보험 손해율 추가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통상 겨울철은 한파와 빙판길 사고로 긴급출동 건수가 많은 시기로 운행 중 미끄러지는 사고, 배터리 방전, 타이어 펑크, 긴급견인, 긴급출동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12월 폭설이 내렸을 때도 주요 4개 보험사에 접수된 자동차보험 사고는 일주일 전 대비 68% 급증한 바 있다. 이들 보험사가 제공한 긴급출동 서비스는 9만8445건으로, 전 주 대비 약 3배였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통상 계절적 요인으로 눈길 사고가 많은 12~2월은 손해율이 올라간다"며 "눈길에 미끄러지는 사고, 추운 날씨에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긴급출동, 눈길 사고에 따른 긴급견인 등이 발생해 손해율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말 손해율 악화…2%대 보험료 인하 불가

이런 상황에서 내년에는 80% 중반 이상의 손해율이 전망돼 코로나19 이전 적자 상황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보험업계 의견이다.

그간 쌓인 자동차보험 누적 적자액도 무시할 수 없다. 손보업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자동차보험 연 평균 적자액은 7400억 가량이다. 2017년 266억원, 2021년 3981억원의 흑자를 감안해도, 여전히 8조원 수준의 적자를 유지할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정치권에서 서민 고통 분담이라는 명목으로 내년 초 자동차 보험료 추가 인하를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메리츠화재와 롯데손해보험은 내년 자동차보험을 2.5~2.9%까지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한 가운데 인하율을 발표하지 않은 대형 보험사들은 자연스럽게 2%대 인하율 압박을 받고 있다.

다만, 두 손보사 모두 손해율을 만회하기 위해 비중을 자체적으로 줄이는 디마케팅을 진행하면서 손해율을 유지한 바 있다. 롯데손보는 올해 보험료를 인하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2%대 인하 여력이 충분한 상황이다.

또 자동차 정비업계가 내년 정비 수가를 올해 대비 최소 7~8% 인상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내년 인하폭을 확대하는 것도 쉽지 않다.

자동차 정비수가가 오르면 보험사의 지급액이 늘게 돼 보험료가 인상되는 수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그간 자동차보험은 적자만 기록하다 코로나19라는 이례적인 일로 흑자가 난 상황인데 당국에서 2%대의 보험료 인하를 요구하니 이래저래 난처한 상황"이라며 "겨울은 특히 손해율이 높아지는 계절이기 때문에 하반기는 코로나19가 심했던 지난해보다 손해율이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출처 : 보험매일(http://www.fins.co.kr) 

Comments